신장이 안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신장은 우리 몸의 혈액을 걸러 노폐물을 배출하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필수 장기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신장은 '침묵의 장기'라고 불릴 만큼 상당히 손상될 때까지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질환을 놓치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장이 안 좋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들, 왜 그런 증상이 생기는지의 원리, 그리고 의심할 만한 상황까지 아주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신장 건강이 걱정되신다면 반드시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1. 부종(몸이 붓는다)
가장 흔하면서도 놓치기 쉬운 신장 이상 신호입니다.
- 얼굴 붓기: 특히 아침에 눈두덩이, 얼굴이 붓는다.
- 다리·발목 붓기: 저녁에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 복수(배에 물이 참): 진행된 경우에는 배가 불러온다.
📌 왜?
신장이 나트륨과 수분을 잘 배설하지 못해 체내에 물이 쌓입니다.
2. 소변 변화
신장이 혈액을 걸러 만드는 소변은 상태를 반영합니다.
- 거품 많은 소변: 단백뇨(단백질 누출) 신호
- 붉거나 갈색 소변: 혈뇨 가능성
- 소변량 감소: 심각한 신장기능 저하
- 소변 자주, 특히 밤에 잦은 배뇨
- 소변이 탁하거나 악취
📌 왜?
신장이 손상되면 필터 기능이 망가져 단백질, 혈액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거나, 농축 기능이 저하됩니다.
3. 피로감·무력감
- 만성피로: 아무리 쉬어도 개운하지 않음
- 집중력 저하
- 전신 권태감
📌 왜?
노폐물이 혈중에 쌓이면서 몸이 전반적으로 피곤해집니다. 또, 신장이 적혈구 생성을 돕는 호르몬(에리트로포이에틴)을 덜 만들어 빈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식욕부진·메스꺼움·구토
- 입맛이 사라지고
- 먹으면 메스껍거나 토하기도
📌 왜?
요독(신장이 제거 못한 노폐물)이 혈액에 쌓여 소화기계에 영향을 줍니다.
5. 피부 가려움증
- 전신 혹은 일부 부위가 가려움
- 긁어도 시원하지 않은 깊은 가려움
📌 왜?
체내 인(phosphate), 노폐물 축적으로 피부 아래 신경을 자극합니다.
6. 호흡곤란
- 평소보다 숨이 차다
- 누웠을 때 숨쉬기 불편
📌 왜?
수분 과잉 → 폐에 물이 참 → 폐부종
또는 빈혈로 인해 산소 운반 능력 저하
7. 혈압 상승
- 고혈압이 새로 생김
- 기존 고혈압이 잘 조절 안됨
📌 왜?
신장은 혈압을 조절하는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관리합니다. 기능이 나빠지면 혈압을 높이는 호르몬 분비가 증가합니다.
8. 수면장애
- 잠이 안 오거나
- 자주 깨는 증상
- 밤에 소변 보러 자주 깸
📌 왜?
신부전 환자에서 요독증이 뇌 기능, 호르몬 조절을 방해합니다.
9. 근육 경련·발작적 통증
- 밤에 종아리 쥐가 자주 남
- 손발 저림, 근육통
📌 왜?
전해질(칼슘, 인, 칼륨) 불균형 때문.
10. 금속맛·입 냄새
- 입에서 암모니아 냄새
- 음식이 이상하게 느껴짐
📌 왜?
요독증이 심해지면 구강 내 노폐물이 분해되며 특유의 금속성 맛이 남.
11. 체중 변화
- 급격한 체중 증가(부종 때문)
- 혹은 식욕부진으로 체중 감소
12. 신경계 증상
- 집중력 저하
- 혼동
- 심한 경우 경련, 의식 저하
📌 왜?
요독성 뇌병증: 노폐물이 뇌 기능을 억제.
13. 빈혈
- 창백해지고
- 숨이 차고
- 쉽게 피곤
📌 왜?
신장이 적혈구 생성호르몬(EPO)을 덜 만들어서.
신장이 나쁘면 왜 이렇게 다양한 증상이 생길까?
신장은 혈액을 걸러 노폐물을 빼내고, 수분·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호르몬을 분비해 혈압·빈혈까지 조절합니다.
👉 즉,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몸 전체 시스템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언제 병원 가야 하나?
- 얼굴·다리 붓기가 지속
- 소변에 거품이나 피가 섞임
- 이유 없이 피곤하고 입맛이 없음
- 고혈압이 갑자기 오름
- 밤에 소변이 자주 나감
-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
📌 → 신장내과 진료 권장
✅ 혈액검사(크레아티닌, 사구체여과율)
✅ 소변검사(단백뇨, 혈뇨)
결론 – 침묵의 장기, 신장을 지키려면?
✔️ 고혈압·당뇨 잘 관리
✔️ 과도한 진통제·약물 남용 피하기
✔️ 정기 건강검진으로 조기 발견
✔️ 싱겁게 먹고 수분 충분히 섭취
✔️ 이상 증상 있으면 바로 검사
📌 신장은 손상되면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조기 발견이 최고의 치료입니다.
댓글